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Copy file name to clipboardExpand all lines: exercises/basic_call/problem.ko.md
+8-8Lines changed: 8 additions & 8 deletions
Display the source diff
Display the rich diff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10 +1,10 @@
1
-
JavaScript는 'duck' 타이핑을 구현합니다. 덕 타이핑은 동적 타이핑의 형식입니다. 이는 특정 클래스에서 상속하거나, 특정 인터페이스에서 구현하는 대신, 객체의 메소드에서 바른 형식인지 파악합니다. 이 개념의 이름은 James Whitcomb Riley가 만든 덕 데스트에 기인하고 다음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
JavaScript는 'duck' 타이핑을 구현합니다. 덕 타이핑은 동적 타이핑의 형식입니다. 이는 특정 클래스에서 상속받는 것이나 특정 인터페이스의 구현 방식이 아닌, 객체의 메소드와 속성을 통해 바른 형식이 무엇인지 결정합니다. 이 개념의 이름은 James Whitcomb Riley가 만든 덕 데스트에 기인하고 다음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2
2
3
3
"오리처럼 걷고, 오리처럼 수영하고, 오리처럼 꽥꽥대는 새가 있다면, 나는 그 새를 오리라 부르겠다"
4
4
5
-
JavaScript에서 탄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려다보면 종종 객채가 우리가 원하는 형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5
+
JavaScript에서 탄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려다보면 종종 객체가 우리가 원하는 형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6
6
7
-
객체가 직접 구현한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려면 (즉, 프로토타입네서 상속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려면) Object#hasOwnProperty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7
+
객체가 직접 구현한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려면 (즉, 프로토타입에서 상속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려면) Object#hasOwnProperty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8
8
9
9
```js
10
10
var duck = {
@@ -16,9 +16,9 @@ var duck = {
16
16
duck.hasOwnProperty('quack') // => true
17
17
```
18
18
19
-
duck에 .hasOwnProperty 메소드를 구현한적이 없는데 어디서 왔을까요?
19
+
duck에 .hasOwnProperty 메소드를 구현한 적이 없는데 어디서 왔을까요?
20
20
21
-
duck은 `{}` 구문으로 만들어 쳤으므로 Object.prototype에서 상속됩니다.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