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1348a0a

Browse files
committed
Fix Korean translation
1 parent 8cd8db6 commit 1348a0a

File tree

19 files changed

+81
-82
lines changed

19 files changed

+81
-82
lines changed

exercises/async_loops/problem.ko.md

Lines changed: 7 additions & 8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6 +1,6 @@
11
이 코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22

3-
어떤 자바 개발자가 이 끔찍한 코드를 우리에 코드베이스에 테스트도 안하고 커밋했습니다!
3+
어떤 자바 개발자가 이 끔찍한 코드를 우리에 코드베이스에 테스트도 안 하고 커밋했습니다!
44

55
```js
66
function loadUsers(userIds, load, done) {
@@ -17,26 +17,25 @@ module.exports = loadUsers
1717
# 해야할 일
1818

1919
이 코드를 고치세요! 콜백은 모든 사용자가 로드된 후에 호출되어야만 합니다.
20-
사용자의 순서는 공급된 사용자의 아이디의 순서와 일치해야 합니다. 이 함수는 비동기이기 때문에, 반환 값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20+
사용자의 순서는 공급된 사용자의 아이디의 순서와 일치해야 합니다. 이 함수는 비동기적이기 때문에, 반환 값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2121

2222
## 인자
2323

2424
* userIds: 사용자 아이디(숫자)의 배열
25-
* load: 사용자 객체를 로드할때 사용하는 함수. 숫자 아이디와 콜백을 받음. 콜백은 특정 아이디로 로딩된 사용자(사용자거나 널)와 함께 호출됩니다.
26-
* done: (`load`로 검색된) 사용자 객채의 배열을 받는 함수.
25+
* load: 사용자 객체를 불러올 때 사용하는 함수. 숫자 아이디와 콜백을 받음. 콜백은 특정 아이디로 로딩된 사용자(사용자거나 널)와 함께 호출됩니다.
26+
* done: (`load`로 검색된) 사용자 객체의 배열을 받는 함수.
2727

2828
## 조건
2929

3030
* for/while 반복문을 사용하지 마세요. (Array#forEach는 괜찮습니다.)
3131
* `done`의 결과의 순서는 `userIds`의 순서와 같아야 합니다.
32-
* Users should be loaded in parallel i.e. the entire job should not take more than 1 second.
33-
* 사용자들은 별렬로 로드되어야 합니다. 전체 작업은 1초이상 걸리면 안됩니다.
34-
* 헬퍼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32+
* 사용자들은 병렬로 로드되어야 합니다. 전체 작업은 1초 이상 걸리면 안 됩니다.
33+
* 헬퍼 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3534

3635
## 힌트
3736

3837
* 순서를 관리하기 위해 정렬할 필요는 없습니다.
39-
* `console.log`를 사용하면 확인에 영향을 줍니다. `console.log``functional-javascript run`할 때만 사용하세요.
38+
* `console.log`를 사용하면 확인에 영향을 줍니다. `console.log``functional-javascript run` 할 때만 사용하세요.
4039

4140
## 템플릿
4241

exercises/basic_call/problem.ko.md

Lines changed: 8 additions & 8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10 +1,10 @@
1-
JavaScript는 'duck' 타이핑을 구현합니다. 덕 타이핑은 동적 타이핑의 형식입니다. 이는 특정 클래스에서 상속하거나, 특정 인터페이스에서 구현하는 대신, 객체의 메소드에서 바른 형식인지 파악합니다. 이 개념의 이름은 James Whitcomb Riley가 만든 덕 데스트에 기인하고 다음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JavaScript는 'duck' 타이핑을 구현합니다. 덕 타이핑은 동적 타이핑의 형식입니다. 이는 특정 클래스에서 상속받는 것이나 특정 인터페이스의 구현 방식이 아닌, 객체의 메소드와 속성을 통해 바른 형식이 무엇인지 결정합니다. 이 개념의 이름은 James Whitcomb Riley가 만든 덕 데스트에 기인하고 다음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22

33
"오리처럼 걷고, 오리처럼 수영하고, 오리처럼 꽥꽥대는 새가 있다면, 나는 그 새를 오리라 부르겠다"
44

5-
JavaScript에서 탄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려다보면 종종 객채가 우리가 원하는 형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5+
JavaScript에서 탄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려다보면 종종 객체가 우리가 원하는 형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66

7-
객체가 직접 구현한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려면 (즉, 프로토타입네서 상속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려면) Object#hasOwnProperty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7+
객체가 직접 구현한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려면 (즉, 프로토타입에서 상속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려면) Object#hasOwnProperty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88

99
```js
1010
var duck = {
@@ -16,9 +16,9 @@ var duck = {
1616
duck.hasOwnProperty('quack') // => true
1717
```
1818

19-
duck에 .hasOwnProperty 메소드를 구현한적이 없는데 어디서 왔을까요?
19+
duck에 .hasOwnProperty 메소드를 구현한 적이 없는데 어디서 왔을까요?
2020

21-
duck은 `{}` 구문으로 만들어 쳤으므로 Object.prototype에서 상속됩니다.
21+
duck은 `{}` 구문으로 만들어졌으므로 Object.prototype을 상속받습니다.
2222

2323
```js
2424
var object = {quack: true}
@@ -46,15 +46,15 @@ object.hasOwnProperty('quack')
4646
'객체처럼 보이는 것'에 `this` 값과 같이 호출할 수 있다면 `Object.prototype`를 통해 `hasOwnProperty`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unction#call을 사용하면 변경된 `this` 값으로 어떤 함수든 호출할 수 있습니다.
4747

4848
```js
49-
// 호출할 때 넘기는 첫번째 인자는 `this`의 값이 됩니다
49+
// 호출할 때 넘기는 첫 번째 인자는 `this`의 값이 됩니다
5050
// 나머지 인자는 함수에 넘기는 인자가 됩니다
5151

5252
Object.prototype.hasOwnProperty.call(object, 'quack') // => true
5353
```
5454

5555
# 해야할 일:
5656

57-
'quack' 프로퍼티가 직접 정의된 인자의 갯수를 반환하는 `duckCount` 함수를 작성하세요. 프로토타입에서 상속된 값은 재외하셔야 합니다.
57+
'quack' 프로퍼티가 직접 정의된 인자의 개수를 반환하는 `duckCount` 함수를 작성하세요. 프로토타입에서 상속된 값은 제외하셔야 합니다.
5858

5959
예제:
6060

@@ -71,7 +71,7 @@ duckCount(duck, notDuck) // 1
7171

7272
* for/while 반복문이나 Array#forEach를 사용하지 마세요.
7373
* counter/accumulator 변수를 만들지 마세요.
74-
* 헬퍼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74+
* 헬퍼 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7575

7676
## 힌트
7777

exercises/basic_every_some/problem.ko.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39,7 +39,7 @@ Array#some과 Array#every를 사용해 export된 함수에 넘겨진 배열에
3939
## 조건
4040

4141
* for/while 반복문이나 Array#forEach를 사용하지 마세요.
42-
* 헬퍼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42+
* 헬퍼 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4343

4444
## 참고
4545

exercises/basic_filter/problem.ko.md

Lines changed: 5 additions & 5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24 +1,24 @@
11
# 해야할 일
22
Array#filter를 사용해 `getShortMessages`를 호출하는 함수를 작성하세요.
33

4-
`getShortMessages`는 '.message' 프로퍼티를 가지는 배열을 받아 *< 50 자보다 적은* 메세지의 배열을 반환합니다.
4+
`getShortMessages`는 '.message' 프로퍼티를 가지는 배열을 받아 *50자보다 적은* 메시지의 배열을 반환합니다.
55

6-
이 함수는 *메세지를 가진 객체가 아닌,* 메세지의 배열을 반환해야합니다.
6+
이 함수는 *메시지를 가진 객체가 아닌,* 메시지의 배열을 반환해야 합니다.
77

88
## 인자
99

10-
* messages: 밑에 있는 것 처럼 생긴 임의의 객체를 10~100개 가지는 배열
10+
* messages: 밑에 있는 것처럼 생긴 임의의 객체를 10~100개 가지는 배열
1111

1212
```js
1313
{
14-
message: 'Esse id amet quis eu esse aute officia ipsum.' // 렌덤
14+
message: 'Esse id amet quis eu esse aute officia ipsum.' // 랜덤
1515
}
1616
```
1717

1818
## 조건
1919

2020
* for/while 반복문이나 Array#forEach를 사용하지 마세요.
21-
* 헬퍼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21+
* 헬퍼 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2222

2323
## 힌트
2424

exercises/basic_map/problem.ko.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2,7 +22,7 @@ module.exports = doubleAll
2222

2323
* Array.prototype.map()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2424
* for/while 반복문이나 Array.prototype.forEach를 사용하지 마세요.
25-
* 헬퍼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25+
* 헬퍼 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2626

2727
## 참고
2828

exercises/basic_recursion/problem.ko.md

Lines changed: 5 additions & 5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6,15 +26,15 @@ reduce가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테스트하기 위해 구현하신 reduc
2626

2727
## 인자
2828

29-
* arr: reduce할 배열
30-
* fn: reduce 단계에서 사용할 함수. 일반 Array#reduce 처럼, 이 함수에는 previousValue, currentValue, index, 반복할 배열을 넘겨야 합니다.
29+
* arr: reduce 할 배열
30+
* fn: reduce 단계에서 사용할 함수. 일반 Array#reduce처럼, 이 함수에는 previousValue, currentValue, index, 반복할 배열을 넘겨야 합니다.
3131
* init: reduce의 초기값. Array#reduce와는 다르게, 이 값은 필요합니다. (그리고 항상 제공된다고 가정합니다.)
3232

3333
## 예제
3434

3535
```js
3636
// reduce 함수는 첫 번째 인자로 배열을 받는 것을
37-
// 재외하고 일반 Array#reduce와 같은 동작을 합니다
37+
// 제외하고 일반 Array#reduce와 같은 동작을 합니다
3838

3939
reduce([1,2,3], function(prev, curr, index, arr) {
4040
return prev + curr
@@ -45,8 +45,8 @@ reduce([1,2,3], function(prev, curr, index, arr) {
4545
## 조건
4646

4747
* for/while 반복문을 사용하지 마세요.
48-
* Array#map이나 Array#reduce같은 Array 메소드를 사용하지 마세요.
49-
* 헬퍼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48+
* Array#map이나 Array#reduce 같은 Array 메소드를 사용하지 마세요.
49+
* 헬퍼 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5050

5151
## 참고
5252

exercises/basic_reduce/problem.ko.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4,7 +24,7 @@ console.log(countWords(inputWords))
2424
## 조건
2525

2626
* for/while 반복문이나 Array#forEach를 사용하지 마세요.
27-
* 헬퍼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27+
* 헬퍼 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2828

2929
## 참고
3030

exercises/blocking_event_loop/problem.ko.md

Lines changed: 5 additions & 5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19 +1,19 @@
11
# 해야할 일
22

3-
템플릿으로 주어진 재귀 `repeat` 함수를, 이벤트 루프를 중단하지 않도록(Timer와 IO handler가 발동할 수 있도록) 수정하세요. repeat를 비동기로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3+
템플릿으로 주어진 재귀 `repeat` 함수를, 이벤트 루프를 중단하지 않도록(Timer와 IO 핸들러가 발동할 수 있도록) 수정하세요. repeat를 비동기적으로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44

5-
테스트의 결과를 출력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타임아웃은 100 밀리 초 후에 발동하도록 예약되어 있습니다. 모든 연산이 완료되기전에 타임아웃이 작업을 중단할 수 있도록 `repeat`는 이벤트 루프의 제어권을 해제해야 합니다.
5+
테스트의 결과를 출력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타임아웃은 100 밀리 초 후에 발동하도록 예약되어 있습니다. 모든 연산이 완료되기 전에 타임아웃이 작업을 중단할 수 있도록 `repeat`는 이벤트 루프의 제어권을 해제해야 합니다.
66

77
timeout이 발동하기 전에 가능한 많은 작업을 수행해 보십시오!
88

99
## 조건
1010

1111
* 어떤 for/while 반복문이나 Array#forEach도 사용하지 마세요.
12-
* 핼퍼 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12+
* 헬퍼 같은 불필요한 함수를 만들지 마세요.
1313

1414
## 힌트
1515

16-
* 프로그램의 수행시간이 오래걸린다면, 뭔가 잘못된 것입니다.
16+
* 프로그램의 수행시간이 오래 걸린다면, 뭔가 잘못된 것입니다.
1717
노드 프로세스를 죽이려면 Control - C를 사용하세요.
1818

1919
## 참고
@@ -24,7 +24,7 @@ timeout이 발동하기 전에 가능한 많은 작업을 수행해 보십시오
2424

2525
```js
2626
function repeat(operation, num) {
27-
// modify this so it can be interrupted
27+
// 도중에 중단될 수 있도록 이곳을 고치세요
2828
if (num <= 0) return
2929
operation()
3030
return repeat(operation, --num)

exercises/currying/problem.ko.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4 +1,4 @@
1-
이 프로그램은 3 인자를 curries up하는 `curry3`의 구현 예제입니다.
1+
이 프로그램은 인자를 curries up하는 `curry3`의 구현 예제입니다.
22

33
```js
44
function curry3(fun){
@@ -12,7 +12,7 @@ function curry3(fun){
1212
}
1313
```
1414

15-
이 구현을 이런 간단한 함수에 사용하려한다고 해봅시다.
15+
이 구현을 이런 간단한 함수에 사용하려 한다고 해봅시다.
1616

1717
```js
1818
function abc(one, two, three) {

exercises/function_call/problem.ko.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9,7 +29,7 @@ function() {
2929
```js
3030
var nums = [1,2,3,4,5]
3131

32-
// slice 함수는 첫 번째 인자로 배열을 받는 것을 재외하고
32+
// slice 함수는 첫 번째 인자로 배열을 받는 것을 제외하고
3333
// slice의 일반적인 행동과 같아야 합니다.
3434

3535
slice(nums, 0, 2) // [1, 2]
@@ -48,7 +48,7 @@ nums.slice(1, 2) // [2]
4848
## 힌트
4949

5050
* 한 줄이면 충분합니다.
51-
* 모든 JavaScript 함수는 call, apply, bind같은 메소드를 `Function.prototype` 객체로 부터 상속합니다.
51+
* 모든 JavaScript 함수는 call, apply, bind 같은 메소드를 `Function.prototype` 객체로부터 상속합니다.
5252
* Function#call은 호출될 때 `this`의 값을 실행합니다. `someFunction.call()` 안에서 `this`의 값은 `someFunction`이 됩니다.
5353
* Function.call 자체는 `Function.prototype`에서 상속되는 함수입니다.
5454

0 commit comments

Comments
 (0)